태양계 행성의 종류 순서 수금지화 목도 천해

태양계 행성의 종류 순서 수금지화 목도 천해안녕하세요! 오늘은 태양계 행성에 대해서 어떤 종류가 있고 특징이 있는지를 보면서 우리가 흔히 부르는 수금지 화목토천해 어떤 순서인지도 알아보면 좋겠어요.현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둘러싸고 몇 개의 태양계 행성과 소행성 여러 개의 혜성이 있을 텐데, 지구형 행성이나 목성형 행성의 특이점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먼저 그 순서를 살펴보겠는데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입니다.수성.태양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행성에서 관측하는 것은 쉬울까요?밝은 태양 주위이기 때문에 관측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하지만 해가 진 직후, 혹은 뜨기 직전에 서쪽이나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잘 보고 수성을 만나야겠죠 운석 구멍으로 덮여 있어서 흔히 달을 닮았다는 오해도 받고 있지만, 대기는 전혀 없고 햇빛을 받는 방향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맞춰 태양이 빛나는 표면과 그렇지 않은 온도차가 매우 큽니다.그래서 온도차가 낮에는 약 400도, 밤에는 영하 170도까지 떨어지는 수성입니다금성.금성은 샛별이라고도 하고, 개밥바리별이라고도 불리던 행성인데요, 그 이유는 새벽과 저녁에 보이는 금성의 모습이 매우 달랐기 때문이죠!8개의 행성 중에서는 가장 밝은 편이고 자전 방향은 지구와 반대라고 합니다. 최초로 금성을 발견한 것은 갈릴레오 갈릴레오로 자신의 망원경을 통해 발견한 행성입니다.지구.지구는 두말하면 잔소리! 우리가 살고 있는 곳입니다:) 달이 1년에 태양 주위를 한 바퀴씩 회전하는데 지구는 그렇다면 어떻게 만들어진 행성일까요?지구는 작은 행성들이 충돌하고 결합되어 여러 조건 속에서 만들어진 행성이라고 하는데 약 46억 년으로 나이를 추정해 보는 거죠.지구는 대기의 성분이 질소이고 산소나 이산화탄소 생명체가 살아갈 때 필요한 성분이 있고, 그래서 우리가 살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신기하게도 많은 태양계 행성 중 사계절이 있고 태양과의 거리가 적당하기 때문에 너무 춥지도 뜨겁지도 않고 따뜻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행성입니다화성.화성은 붉은 행성이지만 만약 지구에서 더 이상 살 수 없다고 판단되면 아마 화성에 가서 살지 않을까 생각해봤을 겁니다..화성에서는 지구와 마찬가지로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어 계절에 대한 변화가 있는 행성으로 아주 적은 양의 이산화탄소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온도가 높지 않다고 합니다.오히려 온도가 낮은 편이고 위가 드라이아이스고 아래가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계절이 바뀌면 크기도 달라진다고 하니 매우 신기한 태양계 행성이군요!목성.목성은 가장 크지만 무거운 행성입니다.지구보다 약 11배 – 12배 정도 크다고 하니, 짐작할 수 있을까요.지구의 1400배가 되고 질량은 지구에 비해 약 318배가 되기 때문에 굉장히 대단한 행성입니다.목성은 고리가 얇은 편이고 작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아주 희미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는 지역은 밝아지고 그 후 차가운 공기가 하강하는 곳은 어두워 보입니다토성.토성 하면 고리 아니에요?여러 행성 중에서도 특이하게 고리를 가지고 있는 행성입니다.얇은 고리가 모여 7만km의 두께를 형성했다고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1만개의 고리가 모여야 한답니다 아휴토성은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도가 어떻게 변하느냐에 따라 자전 속도 또한 다르다고 합니다.태양으로부터 위치를 알 수 있는 자료입니다수성 -> 금성 -> 지구 -> 달 -> 화성 -> 목성 -> 혜성과 소행성 -> 목성 -> 토성 -> 천왕성-> 해왕성-> 왜소행성의 순서라고 할 수 있죠!천왕성.그랬더니 천왕성은 97도에 누워있는 행성이라고 하는데 토성 바깥에 위치하고 있어서 1781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천왕성의 존재를 몰랐다고 합니다.윌리엄 허셜이라는 사람에 의해 발견되어 푸른색을 띠는 행성으로 조사해 보면 푸른색이 반사되어 푸른색처럼 보인다고 합니다.고리가 있지만 목성이나 토성처럼 보이지 않는 이유는 바로 검은 물질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아주 신기한 정보입니다.자전축이 약 97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거의 평행하게 누워서 자전하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다양한 태양계 행성의 종류, 순서, 수, 금, 목, 흙, 천해 순으로 살펴보면서 우리가 살고 있는 행성에 대해서도 잘 알아봤습니다^^해왕성.해왕성.청록색 진주라고 불리는 해왕성은 천왕성이 발견된 직후 사람들은 우리가 또 놓친 행성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추가적으로 찾아서 발견했다고 합니다.명왕성이 퇴출된 거 아시죠?명왕성이 2006년에 태양계에서 퇴출되고 해왕성이 마지막 행성이 된 것입니다. 태양과 가장 멀기 때문에 온도도 너무 낮아서 꽁꽁 언 상태라고 하네요.생각만해도 추울것 같아요..너무 어둡고 검은 대암점도 있는 해왕성은 고리가 있지만 꼬임봉 모양이라고 합니다 마지막 해왕성까지 알아봤으니 태양계를 잘 알아보고 특성, 특징적인 부분을 잘 기억해주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